그냥 chrome에 IDRAC Server address를 입력하면, root server를 통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접속이 안된다. 따라서 기존에 IPMI에서 2번의 ssh를 사용했던 것처럼 IDRAC도 같은 과정을 거쳐야된다. 사실 같은 방법으로 IPMI도 chrome으로 접속이 가능할 것 같다.
[IP ADDR 1] -> IP address of root server
[IP ADDR 2] -> IDRAC Server Address
1. ssh -D localhost:9090 [user]@[IP ADDR 1]
'-D'옵션은 뒤에 [bind_address]의 값과 같이 입력이 된다. 이는 특정 동적 로컬 주소를 포트 포워딩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port forwarding은 application level에서 이루어진다. Local host:9090을 통과하면 [IP ADDR 1]로 통한다는 뜻이 되겠다.
2. "/Applications/Google Chrome.app/Contents/MacOS/Google Chrome" \
--user-data-dir="$HOME/proxy-profile" \
--proxy-server="socks5://localhost:9090"
크롬을 띄워서 socks5를 사용하여 localhost:9090을 연다(?). socks5는 network protocol 중 하나로, proxy server를 통해 client와 server사이의 통신을 도와준다. 이해한 바로는, 크롬 페이지를 하나 열고, 이를 localhost:9090을 통해 통신하도록 만드는 것 같다.
3. Chrome 접속 후 [IP ADDR 2] 에 접속
이제 새롭게 열린 chrome창은 기본적으로 IP주소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내 컴퓨터에서 보이는 chrome화면이긴 하지만, 돌고 있는 것은 [IP ADDR 1]의 서버이다. 이제 실제 원하는 [IP ADDR 2]에 접속하여 원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R) Optane (TM) DC Persistent Memory - APP DIRECT 로 설정하기 (0) | 2022.03.04 |
---|---|
Linux 사용자(user) 추가하기 (0) | 2021.11.26 |
IPMI ssh로 접속하기 (0) | 2021.09.23 |
Timer Management (0) | 2021.06.08 |
Kernel Memory Allocation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