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몰라요

네트워크 수업 공부 8

4. Transport Layer Overview

Internet Protocol Layer 의 5단계 중 2번째 단계인 Transport Layer에 대해 공부하여 마인드 맵으로 정리해보았다. 우선 크게는 4개의 가지로 나뉘어진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 (User Datagran Protocol) RDT (Reliable Data Transfer) Pipeline protocol 각각의 protocol의 특징들과 키워드를 위주로 정리하였으며, 보라색으로 색칠한 것은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것들이다. 현재 공부하고 있는 내용은 개론에 해당하여 자세하게 공부하지 못하는 것이 아쉽지만 그래도 재밌게 공부한 것 같다. (이후 시간이 되면 하나씩 설명을 추가해야겠다) ※ 수정 사항 1. Selective Rep..

3. Application Layer

위 사진은 Internet protocol layer 5단계 중 첫번째 단계로, transport layer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internet service를 사용하는 부분이다. 종류야 훨씬 더 다양하겠지만, 가장 유명한 HTTP, SMTP, DNS 등등의 protocol과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Client-server model외에도 P2P(Peer-to-Peer Model)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키워드보다는 시험에 나올만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정리하여 조금 난잡한 느낌이 있자만,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에 대한 큰 틀은 잡을 수 있을 것 같다.

2. Application Layer(Basic+HTTP)

Key Words - Internet protocol stack - client-server - peer-to-peer(P2P) - HTTP 0. Intro Internet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Internet protocol stack'은 다음과 같다. application layer transport layer network layer link layer physical layer 또한 'ISO/OSI reference model' 에서는 application layer을 조금 더 세분화 하여 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으로 나눈다. 우선 이렇게 계층적인 구조를 띄는 이유는 무엇일까? Java, C#과 같은 객체 지향언어에서의 키 포인트는 바로 abstra..

1. Packet Switching vs Circuit Switching

**주의!! 이 글은 잘못된 정보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Key Words - Packet Switching - Circuit Switching - Store-and-forward - Packet Delay - FDM, TDM 1. Packet Switching what is packet switching? "Packet Switching"이란 host와 같은 end point와 다른 end point가 통신을 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애플리케이션 단계의 정보, 메시지를 'packet'이라는 단위로 나누어 보내는 것이다. 하나의 큰 데이터를 큼직하게 보내는 것보다 처리도 빠르고 효율적일 것이다. packet에는 (아직 완전히 배우지는 못했지만) header가 포함되어 있다. 이 header에 있는..